리더십의 커뮤니케이션 – 공감

요즘(2010년대 이후) 공감이라는 단어를 많이 듣는다. “공감해줘야 한다.”부터 “왜 공감 안해주냐?” 같은 격양 섞인 대화와 함께 “공감 능력”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공감을 단어적으로 풀어보면 상대방의 입장에서 내가 경험해보지 못한 상황을 이해하거나 생각해보는 것을 의미한다. (위키백과) 하지만 우리가 일상에서 듣는 공감이라는 단어는 내 생각이나 의견을 지지해달라는 의미로 잘못쓰이는 경우가 많다. 공감은 내가 상대방의 입장이 되었을 때 같은 …

Continue reading ‘리더십의 커뮤니케이션 – 공감’ »

리더십의 커뮤니케이션 – 이해하기

이해하기 사람은 모두 이기적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는 존재다. 가족처럼 스스로 선택할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면 사람은 집단이 추구하는 이익과 개인의 이익이 부합할 때 사회 집단을 이룬다. 개인은 집단 내 행동(기여)을 통해 개인 이익을 달성하고자 사회 구성원이 된다. 리더십은 집단의 이익이 최대가 되도록 개인의 행동을 이끌어내는 역할이다. 리더십은 구성원의 행동이 집단 이익에 …

Continue reading ‘리더십의 커뮤니케이션 – 이해하기’ »

리더십의 커뮤니케이션 – 소통

Communication 사람이 모여 사회라는 구조가 이뤄진다. 사회 공동체의 움직이는 방향을 설정하는 역할을 우리는 리더십이라고 부른다. 공동체 안에서 개인은 자신이 원하는 바를 현재의 공동체에서 얻고 있거나 미래 공동체에서 찾을 수 있다고 믿는다. 그렇기 때문에 공동체의 움직이는 방향에 동참해 본인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리더십을 발휘한다는 것은 공동체의 방향을 설정하는 일이다. 리더십은 공동체 구성원이 원하는 바를 알아야하고, 미래 …

Continue reading ‘리더십의 커뮤니케이션 – 소통’ »

리더십으로의 정원사

최근에 읽은 책인 Team of Teams와 Finite and Infinite Games에서 함께 언급된 것이 정원사(Gardner)이다. Team of Teams에서는 자율 기반의 조직에서 리더십 모델 가운데 하나로 정원사를 언급했다. 짜여진 대로 움직이는 것이 아닌 정원이라는 공간에서 큰 틀을 잡아주는 존재로써 정원사를 이야기한다. 자연이라는 환경은 내가 원하는 대로 만사가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잘 되는 것도 있고, 망하는 것도 있지만 …

Continue reading ‘리더십으로의 정원사’ »

AMA와 Anonymous 질문

리더는 의사 결정하고 구성원과 소통해야 한다. 스스로도 소통의 필요를 느껴 작년 6월부터 AAA(Ask Anakin Anything) 세션을 진행해오고 있다. 무엇이든 리더가 듣는게 중요하기에 구성원이 목소리를 내도록 무기명(Anonymous) 질문을 받았다. 말해야 들을 수 있고, 들어야 회사나 조직의 운영에 반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무기명 질문의 임팩트는 대단했다. 첫 AAA 60분 시간에 100개가 넘는 무기명 질문이 들어왔다. 최선을 다해 …

Continue reading ‘AMA와 Anonymous 질문’ »

리더십 단상

본인이 아무리 능력 좋아도 본인이 실행할게 아니면 결정자가 아닌 조언자가 되어야 한다. 실제 일하는 사람이 내가 아니라면 “나라면 말이지…” 라는 표현은 함부로 할 말이 아니다. 설령 내가 그 사람의 상관이라도 마찬가지다. 그저 관리(Management)를 하면 된다. 낭떠러지로 떨어지지 않게 가드레일 수준의 관리일지 아니면 자전거가 넘어지지 않게 뒤에서 잡아주는 마이크로 방식일지만 정하면 된다. 마이크로 매니징을 하더라도 결국엔 …

Continue reading ‘리더십 단상’ »

2024년에 대한 짧은 생각

2023년을 바쁘게 보내고 나니 어느새 2024년이다. 많은 일이 있었고, 개발 조직을 넘어 이일 저일에 관여하며 정말 바쁜 한해를 보냈다. 그리고 2024년을 쏘카의 또다른 도전에 함께하며 스스로 기대치를 정리해본다. 내년 이 맘때에 한 해를 돌아보고 만족감으로 이 글을 다시 읽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거칠었던 2023년 도전을 성장으로. 그리고 쏘카의 엔지니어 인재상 쏘카2.0 – 더 큰 도약을 위한 기초 …

Continue reading ‘2024년에 대한 짧은 생각’ »

쏘카의 흔한 일하는 모습

쏘카 사무실 공간의 특별한 요소는 벽을 가득 채운 화이트보드다. 빈 공간의 대부분이 화이트보드다. 처음 이 공간을 접했던 때의 느낌은? 멋지다!!!!!!! 이 공간이 더욱 멋진 이유는 단순히 장식용 화이트보드가 아니라 보드를 가득 채우고 있던 고민의 흔적들이었다. 난무하는 선, 도형, 숫자, 등등. 그래서 더욱 Cool! 했던 것 같다. 요즘 흔하게 보고 있는 일하는 모습이다. 짧게 혹은 길게 …

Continue reading ‘쏘카의 흔한 일하는 모습’ »

협업의 속도를 위한 경계

상반기의 업무 방식이 과감하게 도전하기(Be Bold)라면, 하반기의 일하는 방식은 “함께 리듬감있게 일하기“로 이야기하고 있다. 상반기엔 구성원 모두가 정말 과감하게 도전했고 기대 이상의 성과들을 만들었다. 말이 쉽지 개개인의 희생과 노력없이 도전은 이뤄질 수 없다. 그만큼 피로가 쌓일 수 밖에 없기에, 이 방식은 지속 가능한 업무 형태로 적합하지 않다. 이에 대한 고민을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정리해봤다. 리듬감있게 …

Continue reading ‘협업의 속도를 위한 경계’ »

기술 기업의 핵심

기술 기업의 핵심은 뭘까? 쏘카에 합류하면서 받은 요청 사항을 관통하는 단어가 “기술 기업”이었다. 사실 그전에는 기술 기업(Tech Company)이라는 단어는 기업을 포장하기 위한 미사 여구라고 생각했다. 쏘카를 기술 기업으로 만들어달라는 이야기를 들었을 때 의아했다. 자동차를 기반한 서비스이지만 온라인으로 비대면 서비스를 십년 가까이 제공하고 있으니 이미 기술로 사업을 진행하는 “기술 기업” 아닌가? 시장에서 기술 기업이라고 스스로 부르는 …

Continue reading ‘기술 기업의 핵심’ »